경차 전용 구역 설정
예상치 못한 주차난 유발

우리나라의 주차 공간 부족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며, 수년간 차고지 증명제 없이 차량 보급 대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주요 도시에서 주차 공간을 찾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특히, 경차 전용 주차구역은 주차공간 부족으로 인한 차량 소유주간의 갈등을 촉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경차 전용 주차구역, 더 많은 문제를 초래하나?
경차 전용 주차구역은 2004년 경차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이 제도가 오히려 주차 공간의 부족을 초래하며 차주 간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한다.

아파트 단지와 같은 주거 공간에서는 주차 문제가 입주민 불만의 주된 원인이며, 특히 경차 전용 주차구역이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일부 주민들은 경차 전용 주차구역으로 인해 주차 공간이 더욱 부족해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경차 전용 구역이 비어 있는 상황에서도 일반 차량의 주차가 곤란하며, 경차가 일반 주차공간에 주차될 경우 주차 공간 부족 현상은 더욱 악화된다는 것이다.
경차 운전자도 곤란한 입장
경차 운전자 역시 경차 전용 주차구역에 배정된 주차 공간의 위치가 대체로 구석진 곳에 있어 불편을 겪고 있다고 호소한다.

또한 차에서 내리기가 힘들 정도로 좁은 공간이 배정되는 경우도 많아, 사실상 사용하기 어려운 공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경차 판매량이 감소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경차 전용 주차구역을 계속 유지할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과 함께, 경차 전용 주차 구역의 존속 및 위치, 크기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차주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도시의 주차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