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태료 부과, 이제는 그만”…단속카메라 없이 과태료 부과 가능성?

성실뉴스

드론을 통한 교통단속 도입 사례
단속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사생활 문제 제기

정부가 고속도로에서의 교통법규 위반을 단속하기 위해 도입한 드론 단속 시스템이 효과를 보고 있지만, 사생활 침해 논란으로 인해 현재 운영이 중단된 상태이다. 이 단속 방식은 과태료 부과의 정확성을 높이고, 위반 행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으나,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드론을 활용한 교통단속의 시행과 중단

2017년부터 시범적으로 도입된 드론은 고성능 촬영 장비로 무장하고 교통 법규를 위반하는 차량을 적발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특히, 드론이 도입되면서 연간 적발 건수는 이전보다 3배 증가하는 등 단속 효율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단속의 용이성과 더불어 고속도로에서의 안전 운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증대된 단속 효율

드론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시키면서 단속의 정밀도와 효율은 한층 높아졌다.

이 AI 기술은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해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신고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끼어들기, 지정 차로 위반, 화물차 적재 위반 등을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고 한다.

등장과 함께 사라진 드론 단속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 중 드론 단속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국토부는 드론 단속을 큰 성과로 발표했다.

이에 대한 논란이 일자, 한국도로공사는 드론 단속 미운영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아 생긴 오류라고 해명하였다. 그 결과, 드론 단속은 사생활 침해의 우려로 인해 중단되었고, 이에 따라 정부는 다시 한 번 단속 방법을 재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드론 단속의 미래와 개인정보 보호

드론을 이용한 교통 단속이 사생활 침해 논란으로 중단된 만큼, 정부는 차량 단속의 자동화를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는 드론 단속 방식이 법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철저한 검토와 함께 새로운 단속 장비의 도입을 검토 중이다. 드론 단속이 가져올 변화와 그에 따른 사회적 영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