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전기버스, 한국에서 대량 운행 중
가격 경쟁력은 있지만 안전성에 대한 의문 제기

최근 중국산 전기버스가 한국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신규 등록된 전기버스 중 절반 이상이 중국 제품인 상황이 밝혀졌다. 국토교통부의 자동차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등록된 신규 전기버스 2821대 중 1528대가 수입산이며, 대부분이 중국산이다.
중국산 전기버스, 한국 시장에서의 성장
경쟁력 있는 가격 덕분에 중국산 전기버스가 한국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 잡았다.

국산 전기버스가 최대 5억 원에 달하는 반면, 중국 제품은 약 3억 원으로 설정되어 큰 가격 경쟁력을 보였다. 또한, 배터리 용량 증가로 인해 주행 가능 거리가 늘어난 점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안전성 문제와 지속되는 사고 발생
하지만 저렴한 가격에 비해 안전성 문제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우려되고 있다.

특히 가격을 낮추기 위한 원가 절감이 이뤄진 탓에 주요 부품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최근 상명대 인근에서 발생한 중국산 전기버스 사고는 37명의 부상자를 낳았으며, 해당 노선의 폐지를 촉발시켰다.
정부의 국산 전기버스 지원책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전기버스 소비를 촉진하는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배터리의 질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도입해 저가형 전기버스의 시장 침투에 제동을 걸 계획이다. 이 방침은 중국산 전기버스의 영향력을 축소시키는 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전기버스 산업의 전망과 현대차의 행보
이러한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국내 전기버스 생산 기업들은 생산량 증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차 같은 기업은 수소 전기버스 시장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차 시장의 불신 문제도 해결해 나갈 것이다.
전기버스 시장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으며, 중국산 전기버스의 경쟁력과 정부의 지원 정책은 이 시장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도 이 시장의 동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