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갑질, 무섭다!”…중국 전기차, 대대적인 규제로 큰 타격 예상

성실뉴스

중국산 전기차, 100% 관세 부과 검토
미 대선 앞둔 초강수 무역전쟁
중국 전기차 예시 – 출처 : BYD

미국 대선을 앞두고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100% 관세 인상 방안이 미국 내에서 검토되고 있다. 이는 중국산 저가 전기차의 세계 시장 침투에 대한 두려움을 반영한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과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시절의 관세 정책을 재검토하여 이러한 방침을 세웠다고 한다.

중국은 전기차 부문에서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었지만, 이는 글로벌 시장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중국산 전기차, 100% 관세 검토 유력

미국 정부는 현재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되는 25%의 관세를 100%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 전기차 예시 – 출처 : BYD

이는 주요 자동차 제조국인 미국, 한국, 독일 등이 중국의 경쟁력에 대해 엄격한 경계를 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시장에서의 중국 전기차

현재 중국 전기차는 미국 시장에 진출하지 못한 상태다.

리비안 R3X – 출처 : 리비안

이는 미국 내 모든 수입차에 기본적으로 부과되는 2.5%의 관세 외에, 추가로 25%의 관세가 중국 전기차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따라 세액 공제 혜택도 받지 못한다. 이로 인해 중국 전기차는 제 값에 추가 비용까지 가산하여 판매되어야 해, 경쟁력에 큰 타격을 입었다.

중국 관련 무역 전쟁과 미국 대선의 영향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국은 중국과의 전기차 관련 무역 전쟁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쉐보레 이쿼녹스 EV – 출처 : 쉐보레

미시간주 등 경합주의 표심을 고려한 전략으로, 바이든 대통령은 강력한 관세 부과를 약속하였다. 이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도 중국산 전기차에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양당이 중국을 견제하는 데 있어서는 일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의 중국

중국은 이러한 국제적인 견제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시장에서 주요한 플레이어로 남아있다. 유럽연합도 중국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의 적절성을 조사하고 있는 중이다.

이는 중국이 주요 전기차 시장에서 마주할 관세 장벽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향후 중국이 각국의 견제를 극복하고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