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요구 증가
완성차 업체, 영업비밀로 인해 난색 표명

최근 전기차 배터리로 인한 화재 사건이 발생하면서 배터리에 관한 정보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정보 공개를 강력히 원하고 있으나, 자동차 업계는 배터리 제조사의 정보 공개를 영업 비밀로 간주하며 이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소비자의 불안감 증폭,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필요성 대두
전기차 소유자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공식적인 배터리 정보 접근이 어려워 이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최근 발생한 인천 전기차 화재 사건에서 배터리 제조사의 정보가 늦게 공개되면서 이러한 문제가 부각되었다. 결국에는 국토교통부의 조사를 통해 중국의 파라시스가 해당 배터리의 제조사임이 밝혀졌다.
업계의 입장: 배터리 정보 공개는 영업적 손실 유발
반면, 자동차 업계는 배터리 정보를 공개할 경우, 부품 공급업체와의 관계나 협상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배터리는 전기차의 가격과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 공개는 업계에 큰 손해를 입힐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품질과 안전성 논란
전기차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의 경우, 중국산 배터리가 내국산 보다 가격 면에서 현저히 저렴하나, 그 안전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배터리의 안전성에 대한 강화된 접근이 논의되고 있다.
국토부의 배터리 인증 제도 도입 예정
이런 배경 속에서 국토교통부는 OECD 지침을 참조하여 내년 2월부터 배터리 인증제도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이 제도는 배터리 제조사가 생산한 제품이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국토교통부 장관이 평가하고 인증하게 할 계획이다. 또한, 배터리 식별번호를 차량 등록 시 기록하여 관리하게 함으로써 배터리의 안전성 및 품질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국내 배터리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