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마철 대비 지하 공동 점검 강화
연간 5,000km 특별 점검으로 지반침하 예방

서울시가 최근 장마철을 대비하여 지하 공동의 특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점검은 침수가 우려되는 구간, 노후화된 상하수도관 주변, 지하철역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지반 침하 위험 지역의 분리로 위험도에 따라 2회에서 4회 반복 점검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연간 총 5,000km의 지역을 점검할 계획이다.
지하 공간의 철저한 점검으로 안전 강화
지반침하 사고 방지를 위해 서울시는 10m 이상 깊이의 굴착공사장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해 왔다.

총 221곳의 굴착공사장을 점검하여 25개의 지하 공동을 발견하고 즉시 조치를 완료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장마 후에도 도로 파임이나 땅꺼짐 없이 안전한 도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공사 이력 분석을 통한 지반침하 예방
2018년 이후 서울시는 매년 평균 250km의 도로를 점검해왔으며, 작년에는 500km에 이르렀다.

연수구
올해는 특히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바탕으로 공사 이력과 공동 복구 상황을 분석하여 10배 증가한 5,000km의 점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집중 점검 구역과 발견된 공동의 신속한 복구
서울시는 올해 초부터 7월까지 2,953km 구간을 점검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286개의 지하 공동을 발견하고 복구하였다.
이로 인해 지반침하 발생 빈도가 지난 해 같은 기간 대비 57% 감소하였으며, 지난해 14건에서 올해는 6건으로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기 대비 굴착공사장의 지하 안전 강화
서울시는 3월부터 6월까지 굴착공사장의 지하안전점검을 완료하였다. 이 점검을 통해 238건의 지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한 사례를 적발하였으며, 장마기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반복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지표 투과 레이더(GPR)을 활용한 집중 조사로 약해질 수 있는 지하 공간을 선제적으로 확인하고, 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지하 공공 안전에 대한 서울시의 이러한 행보는 시민의 안전을 지키고, 재해로부터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점검과 신속한 조치가 유지되어 시민들이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