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 원짜리 차도 예외 없다!”…내 타이어 ‘이 상태’면 즉시 후진

성실뉴스

기후변화로 인한 빈번한 폭우
차량 침수 대비 필요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폭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 침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도로가 갑자기 물에 잠기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사람들이 갇혀 익사하는 극단적인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왜 계속되고 있는 것일까?

기상 이변과 차량의 침수 위험

과거에 국내 한 방송에서는 여러 크기의 차량이 물 웅덩이를 통과하는 실험을 방영한 적이 있다.

실험에서는 트럭이 물 웅덩이를 지나다가 엔진이 멈추는 사례를 보여주었다. 물의 깊이는 대략 성인의 무릎 높이였으며, 트럭은 1천 RPM을 유지하다가 엔진이 꺼졌다.

물 배출용 밸브의 중요성

차량의 침수 문제는 대부분 차량 하단의 물 배출용 밸브와 관련이 있다.

이 밸브는 원래 엔진에서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지만, 물에 잠기게 되면 오히려 물이 역류하여 엔진이 꺼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물 배출용 밸브가 낮게 위치해 있는 것이 문제로, 일반 승용차의 경우 약 54cm~57cm, 소형 트럭은 30cm, 덤프 트럭은 약 135cm의 물 깊이를 견딜 수 있다.

지상고가 높은 차량도 안전하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지상고가 높은 SUV나 대형 트럭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이 역시 물 배출용 밸브의 위치가 낮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프 랭글러나 기아 모하비 같은 오프로드 SUV는 물 깊이 50cm 이상에서도 문제 없이 주행할 수 있지만, 이는 특별한 경우이다. 대부분의 차량은 타이어 지름의 절반 깊이까지만 물에 잠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기차의 침수 안정성 의문

전기차는 엔진 대신 전기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내연기관차보다 물 속에서 안정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고전압 배터리와 전장 부품이 물에 휩싸이면 나올 수 있는 오작동은 치명적일 수 있다. 사실상 밀폐 처리가 잘 되어 있어도 100%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가능한 한 침수 지역은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결론적으로, 차량 침수는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구조적인 요소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충분한 지상고와 물 배출 구조를 갖춘 차량 선택이 필요하며, 기상 예보에 귀 기울이고 위험 구간은 사전에 피하는 지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