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했다가 무고죄 소송 위기?”…음주운전 의심했다가 아니었던 상황

성실뉴스

음주운전 의심 제보로 인한 무고죄 가능성 희박
정당한 제보는 보호받아

최근 거리두기 해제 이후 음주운전, 난폭운전, 신호위반과 같은 교통법규 위반 사항의 공익제보가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음주운전의 경우, 음주 의심 신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로 인해 많은 운전자들이 법적 대응을 걱정하고 있다.

음주운전 의심 제보와 무고죄의 관계

음주운전 의심 차량 제보가 무고죄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음주운전 가능성에 근거한 공익제보는 허위 사실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무고죄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부는 공익제보자 보호를 위해 다양한 법적 안전 장치를 마련 중이다.

허위 신고의 법적 책임과 음주 단속 현장 중계의 문제점

명백한 허위 신고의 경우, 공무집행방해 등 여러 죄목으로 처벌 받을 수 있다.

반면, 음주운전 단속 현장을 생중계하는 행위는 법적으로 문제될 것이 없다고 경찰은 판단하였다. 이는 직접적인 피해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기사는 교통법규 위반에 대한 신고가 법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독자들이 각종 교통 위반 사항에 대해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