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장마 주의”…장대비 속 전기차 안전, 정말 괜찮을까?

성실뉴스

차량 하부 배터리의 안전 여부
침수 시 폐차 문제까지 고려해야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함께 소비자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서울에서 발생한 기록적인 폭우를 통해 전기차 소유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심화되었다.

전기차의 배터리는 주로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침수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안정성 문제

전기차의 배터리는 차량 하부에 위치하여, 침수될 위험이 있다.

이런 배터리의 안전성에 관해서는 많은 전기차 제조사들이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배터리팩은 완전히 밀폐되어 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다양한 문제를 선제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조 결함이나 충돌로 인해 물이 침입하는 경우, BMS의 보호 모듈이 작동하여 전력을 차단하고 배터리를 외부로부터 격리시켜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충전기의 안전은 보장되나?

전기차 충전기 문제도 종종 제기된다.

기상이 악화되어 침수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의 충전은 어떤 영향을 미칠까? 충전기 자체에는 과전압과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 회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접지 처리가 되어 있어 감전 위험을 최소화한다.

충전 중에는 차단기가 장착되어 있어 감전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히 전력을 차단해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한다. 하지만 폭우나 태풍과 같이 강한 비가 예상될 때는 충전을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전기차 폐차 문제

전기차가 침수되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폐차 문제는 더 복잡해진다.

전기차의 전장 부품, 모터, 배터리 기반 파워트레인은 한번 물에 젖었을 경우 원상태로 복구하기 어렵다. 배터리 팩의 경우, 우수한 방수 기능으로 침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부품의 재활용 가능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강남 지역에서 발생한 침수 사고 후 현장에서 회수한 EV6의 배터리 팩이 상태가 좋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전기차의 안전 관리와 주의사항

전기차와 그 충전기는 다양한 안전 장치를 갖추고 있지만, 극단적인 날씨 조건 하에서는 여전히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침수차 부품의 재활용을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고 있어, 전기차 오너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