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 배달 이제 끝!”…현대차, 자율주행 로봇으로 또 해냈다!

성실뉴스

자율주행 로봇, 횡단보도 주행 시연 대성공
현대차∙기아, 신호 정보 연동 기술 개발로 놀라움 선사

현대차가 개발한 자율주행 배송로봇 ‘달이 딜리버리’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횡단하는 모습을 선보이며 눈길을 끌었다.

이 기술 시연은 경기도 의왕시에서 진행되었으며, 경찰청과 한국도로교통공단 등 관계기관의 협조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자율주행 로봇, 횡단보도 주행 시연 성공

자율주행 배송로봇이 횡단보도를 건너는 모습은 로봇의 교통 신호 인식 능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배송 로봇은 현대차와 기아의 공동 노력으로 개발된 신호 정보 연동 기술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 신호를 받아 움직였다.

로봇 관제 시스템과 AI 기술로 안전 강화

현대차 로보틱스랩에서 개발한 로봇 관제 시스템은 로봇이 신호 정보를 정확히 수신하여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도록 한다.

다중 로봇 관제가 가능하여 여러 로봇이 동시에 교차로를 횡단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운행을 보장한다. 로봇은 자율주행 기능을 통해 사람이나 장애물을 회피하며, 관제 시스템의 지시에 따라 안전하게 길을 건넌다.

사실상 완전자율주행차, 오류 생겨도 안전

‘달이 딜리버리’ 로봇은 인공지능(AI) 비전 기술을 통해 현장 신호 정보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신호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로봇이 안전한 이동을 계속할 수 있게 한다. 로봇에는 자연스럽게 회피 이동을 할 수 있는 PnD 모듈과, 주변 환경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라이다 및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용어 설명 및 기술 안내

사용된 주요 기술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PnD 모듈은 자율주행 로봇의 이동을 담당하는 주요 기계 부품으로, 로봇이 자연스럽게 회피 이동과 코너링을 가능하게 한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이용해 주변 환경을 3D로 스캔하며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AI 비전 기술은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물체를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한다.

이처럼 현대차는 자율주행 로봇 기술을 통해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새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향후 이 기술들이 확대 적용되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 환경이 구현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