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주변 시설물 파손, 보상 비용은?
가로수, 전신주 등 일상에서 쉽게 지나치는 시설물, 예상보다 비싼 보상 비용

교통 사고가 발생하면 차량의 파손 뿐만 아니라, 도로 주변 시설물의 파손도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시설물의 보상 비용은 생각보다 훨씬 많이 들어, 운전자에게 큰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다.
대한교통사고감정원의 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도로 시설물들의 파손 비용은 상당히 높다.
도로 주변 시설물 파손 시 보상 비용 고려해야 할 사항
보통 도로 주변의 가로수, 전신주 등의 시설물은 외관상으로는 큰 가치가 없어 보일 수 있으나, 파손 시 복구 비용은 예상 외로 높다.

예컨대, 은행나무 한 그루의 최소 가격은 830만 원에 달하며, 크기가 클수록 가격은 더욱 상승한다. 또한, 느티나무, 벚나무, 이팝나무 등 다른 가로수들 또한 고가이며, 도시의 미관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그 가치는 매우 크다.
전신주와 그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전신주는 구매 비용뿐만 아니라 설치와 유지 보수에도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파손 시에는 1~2천만 원이 소요되고, 추가로 통신 기능이 통합된 전신주의 경우 비용은 더욱 증가한다. 전신주가 파손되면 주변 지역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그로 인한 추가 비용도 발생한다.
교통 신호 제어기의 중요성과 파손 비용
교통 신호 제어기는 대략 750만 원 정도이며, 이는 횡단보도나 인도 근처에 주로 설치된다.

이 장치가 파손되면 교통 흐름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여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비교적 저렴한 가로등의 비용
도시의 밤을 밝히는 가로등은 비교적 저렴한 편으로, 모든 부품을 포함한 설치 비용이 약 300만 원이다. 가로등은 도심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며, 비용 대비 효과가 크다.
기타 다양한 도로 시설물의 경제적 가치
가드레일, 버스 정류장 부스, 도로 표지판, 변압기 등 다양한 도로 시설물들도 피해 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한다.
특히, 변압기는 사고 발생 시 수천 만 원의 수리 비용뿐만 아니라, 주변 상점의 정전으로 인한 배상 비용도 포함하여 전체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도로 시설물들은 일상에서 흔히 마주치지만 한 번의 사고가 발생하면 큰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모든 운전자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보다 신중하게 운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