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된다고?!”…운전자들이 체념했던 ‘이 상황’, 요즘 확 좋아진 이유

성실뉴스

전국 지자체, 공영주차장 확보에 주력
서울시, 부족한 주차 문제 해결로 골머리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공영주차장 확보에 힘쓰고 있다. 서울시는 주차 공간 부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도심 진입 시 추가 요금 부과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울산시, 주차난 해결 위한 대규모 주차타워 건설 계획

울산시 남구의 평창현대아파트 앞 공영주차장은 1998년 개장 이래 주차난과 교통정체, 불법 주정차 문제로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차량 증가로 기존 주차 공간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에 울산시는 기존 주차 공간 240면을 471면으로 확장하고, 지상 5층 규모의 주차 전용 건물을 새로 짓겠다고 발표했다.

2026년 6월 완공 목표로, 청년 취업·창업 공간, 문화예술 휴게 공간, 이동 노동자를 위한 쉼터 및 옥외 커뮤니티 광장도 추가로 조성할 예정이다.

고양시와 주변 지역도 주차장 확대에 박차

고양시는 유사한 정책을 추진 중으로, 2031년까지 42개의 주차장을 새로 조성하거나 기존의 주차장을 입체화하여 확장할 계획이다.

이는 일산 도심지와 새로 개발되는 택지지구의 주차 부담을 줄이기 위함이다. 인천과 김포 등 수도권의 여러 지자체들도 주차 인프라 확충에 상당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서울시, 주차 문제 해결 위한 집중 투자에도 여전히 부족

서울시의 공영주차장 확보율은 142.5%로, 2013년 대비 향상된 수치이나 실제 주차 공간은 여전히 부족하다.

특히 주거지 중심의 주차장 확보율은 통계치보다 낮으며, 서울 중구와 종로구는 아직도 75.8%와 88.8%에 불과하다.

서울시는 주차공간 공유 및 구형 주차장의 재건축을 포함한 다양한 대책에 힘쓰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지역에서 주차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미국 뉴욕시의 혼잡통행료 부과 사례, 서울시에 시사점 제공

일부 교통 전문가들은 주차 난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뉴욕시에서 도입한 도심 진입 차량에 대한 혼잡통행료 부과 조치를 벤치마킹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뉴욕시는 이 제도를 통해 연간 10억 달러의 예산을 확보하고, 이를 교통인프라 개선과 대중교통 시스템 확장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정책이 서울시에 도입될 경우, 승용차 유입 감소와 교통 흐름 개선, 주차난 완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이러한 도입은 강한 반발이 예상되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