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사고 증가로 인한 우려
국토부, 지난해 말 전기차 화재 예방 조치 매뉴얼 공급

과거 몇 년간 전기차의 보급률이 급증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화재 사건도 늘어나고 있다. 안양의 한 아파트에서는 지난 2월 전기차 출입을 금지하는 현수막을 게시하면서 화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동주택 전기자동차 화재대응 매뉴얼’을 개발해 지난해 말 전국의 공동주택에 배포하였다.
이 매뉴얼은 전기차 화재 예방 및 대응 체계를 확립하여 입주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기차 화재 증가와 대응의 중요성
전기차 화재는 주로 추충 중이거나 주차 중인 배터리의 결함, 과충전 또는 외부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화재 진압이 어렵고 장시간 소요되며, 특히 지하주차장에서의 화재는 대규모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소방청은 전기차 충전 설비에 대한 시설 기준을 마련하고, 매뉴얼을 통해 충전소 및 소방, 안전 설비의 점검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공동주택 전기차 화재 대응 행동요령 안내
전기차의 보급 증가로 인해 화재 위험성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전기차 화재 대응 매뉴얼을 발간하였다. 이 매뉴얼을 통해 입주민과 관리사무소가 안전한 대응 방법을 안내받고 있다.
전기차 화재의 주요 원인과 위험성
전기차 화재는 주로 배터리의 결함, 과충전, 과방전, 외부 충겟 등 기계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높은 에너지 밀도 때문에 대형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기차 화재는 쉽게 진압되지 않으며 재발화 가능성이 높다. 또한 많은 연기와 유독성 가스를 방출하여 대규모의 인명 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입주민의 전기차 화재 대응 요령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면 입주민은 신속하고 질서 있게 대피하여야 한다. 화재 발견 시 즉시 119와 관리사무소에 신고하고, 방송을 통한 대피 안내에 따라야 한다.
피난계단을 사용하여 지상으로 대피하며, 방화문이 있다면 닫아 나가야 한다. 노약자의 대피를 도우며, 질서를 유지하여 지정된 안전장소로 이동하여야 한다.
관리사무소는 화재 상황을 CCTV로 확인 후 대피 방송을 해야 하며, 소방대의 화재 진압을 돕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위와 같은 대응 매뉴얼과 교육을 통해 입주민과 관리사뉴소는 전기차 화재에 대비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이를 통해 공동주택의 전기차 화재 예방 및 대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