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주행거리, 왜 이렇게 들쭉날쭉해?”…숨겨진 이유 밝혀진다!

성실뉴스

Updated on:

전기차 주행거리 기준, 왜 나라별로 다를까?
각국의 다양한 인증 기준에 대한 이해 필요

전기자동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주행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하지만 전기차의 주행거리는 사용 지역의 인증 기준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거리를 비교할 때는 인증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차의 주행거리 측정

전기차의 주행거리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어떤 이는 450km라고 하며, 다른 이는 500km라고 한다.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공개된 수치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소비자의 실망감은 클 수밖에 없다. 주행거리 측정 기준에는 유럽, 미국, 한국 등 각기 다른 인증 기준이 적용된다.

유럽의 WLTP 기준

유럽에서는 WLTP(세계조화 경량차 시험 절차) 기준이 주로 사용된다.

이전에 사용되던 NEDC 기준보다 WLTP는 더 현실적인 주행 조건을 반영한다. WLTP는 주행 속도가 더 빠르며, 다양한 주행 환경을 고려한다.

예를 들면, 구형 코나 일렉트릭의 주행거리는 NEDC 기준으로 546km였지만, WLTP 기준으로는 482km로 줄어든다.

미국 EPA 기준

미국에서는 EPA(환경보호청) 기준이 적용된다.

EPA 기준은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한 후에 실시하는 도시와 고속도로 주행을 포함한 테스트로 구성된다. 주행 테스트 후, 최종 주행거리 값의 70%만을 주행거리로 반영한다.

예를 들어, 기아 EV6의 경우, WLTP 기준으로 528km인 반면, EPA 기준으로는 499km로 측정된다.

한국 환경부의 인증 절차

한국에서는 환경부 인증 절차가 적용된다.

이 기준은 미국의 EPA 기준에 추가로 여러 가혹한 환경을 포함한 5-cycle testing 절차를 적용한다. 이로 인해 주행거리는 종종 다른 기준들보다 짧게 나오기도 한다.

유럽에서 400km 이상의 주행거리를 보이는 전기차가 한국에서는 300km 초반을 기록하는 경우가 있다.

결론적으로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비교할 때는 각국의 인증 기준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정확한 주행거리 파악은 소비자가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선택을 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주행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준들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현명한 전기차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