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자동차, 2026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즈이 시리즈 신차에 2027년부터 전고체 배터리 탑재

중국 상하이자동차는 2026년 전고체 배터리의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이어서 2027년에는 즈이 시리즈의 신차에 해당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전고체 배터리는 우수한 에너지 밀도와 빠른 충전 속도, 뛰어난 안전성을 지녀 기존의 액체 기반 배터리보다 높은 성능과 신뢰성을 갖추었다고 평가받는다.
중국 상하이자동차의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계획
상하이자동차는 이미 시작된 전고체 배터리 생산라인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첫 건설이 완료될 예정이다.

이 회사는 세 단계의 접근 방식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를 단계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1단계에서는 액체 함량이 10%인 배터리를, 2단계에서는 5%로 줄이며, 3단계에서는 완전한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할 예정이다.
특히, 이 배터리는 이미 즈이 L6 모델에 탑재되어 테스트 중이다.
전고체 배터리의 장점과 기술적 진보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액체 전해질이 필요한 기존 배터리보다 더 높은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상하이자동차는 폴리머-무기 복합 전해질 기술로 이러한 배터리를 개발했다. 1단계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400Wh/kg 이상이며, 2단계에서는 500Wh/kg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것은 삼원계 리튬 이온 배터리의 1.5배에서 2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전고체 배터리로 인한 전기차 시장의 변화
전고체 배터리가 시장에 보편화되면, 전기차의 주행거리는 현재의 두 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예를 들어, 주행거리 500km의 전기차가 전고체 배터리를 사용하면 이론적으로 1000km까지 운행이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의 부피를 최대 30% 가량 줄일 수 있어 차량 내 추가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해진다.
이는 전기차 업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상하이자동차의 시장 선점 전략
상하이자동차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며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는 다른 주요 제조사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고체 배터리 기술이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차량을 대체하며 전기차의 지배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이 기술을 선점한 기업이 엄청난 이익과 영향력을 얻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