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스쿨존, 노란색 일원화로 시인성 대폭 향상
선진국형 도로 시스템 도입으로 시민들 호평

최근 스쿨존 내의 교통시설들이 노란색으로 일원화되고 있다. 이는 어린이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높은 시인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화는 관할 기관과 관련 법의 재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시작되었다.
노란색으로 통일된 스쿨존, 주민들로부터 호응 얻어
스쿨존 내의 신호등 커버, 단속 카메라 커버, 노면 표시, 횡단보도, 옐로 카펫, 보행자 정지라인 등은 모두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이러한 강조된 색상 사용은 실제로 보행자 사상자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왜 노란색인가? 시인성이 결정적인 요소
노란색은 멀리서도 잘 보이고, 물체를 더 크게 보이도록 강조한다.

특히 야간이나 안개가 낀 날씨에도 뛰어난 시인성을 제공한다. 아스팔트 도로와의 대조 또한 탁월해 시인성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노란색 교통시설은 영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추세다. 영국은 1967년 이후, 널리 적용하여 오늘날 많은 국가가 이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국내 외 스쿨존에서의 적극적인 노란색 도입
우리나라도 지난해부터 스쿨존에 노란색 횡단보도를 도입하며, 노란색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 조치는 이미 운전자들 사이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정지선 준수율 역시 크게 향상되었다고 한다.
또한, 서울을 포함한 일부 지자체에서는 교차로와 같이 교통 흐름이 복잡한 지역의 정차 금지 지대도 노란색으로 변경 중이다. 이 모든 변화는 교통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일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