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도로, 완전 망했네”…정부, 이러니 답이 없다고 한숨만

성실뉴스

자동차 누적 등록 대수 2613만 대 돌파
인구 1.96명당 1대 보유, 도로 포화 심각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6월 현재 대한민국의 자동차 누적 등록 대수는 2613만 4000대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말에 비해 0.7% 증가한 수치이며, 인구 1.96명 당 1대의 비율로 자동차가 등록되어 있다고 한다.

자동차 종류별 등록 현황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2158만 9000대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화물차가 372만 5000대, 승합차가 67만 9000대, 특수차량이 14만 1000대가 등록되어 있다.

크기별로는 중형차가 1355만 3000대로 가장 많고, 대형차, 소형차, 경형차 순이다. 연료별로는 휘발유 차량이 1239만 대로 가장 많으며, 경유차는 929만 9000대, LPG차량은 184만 9000대로 뒤를 이은다.

친환경 차량의 부상

하이브리드 차량은 177만 1000대, 전기차는 60만 7000대, 수소차는 3만 6000대로 집계되었다.

친환경 차량의 증가 추세가 두드러지며,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가세가 뚜렷하다. 이와 반대로 경유차의 수는 2021년부터 감소세를 보이며, 최근에는 그 감소 폭이 더욱 커졌다. 현대·기아차가 2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실적의 핵심 원동력으로 하이브리드 플랫폼이 꼽히는 등, 친환경 차량의 성장세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별 차량 보유 현황

서울의 경우 인구 약 936만 명 중 318만 대의 차량이 등록되어 있어, 인구 2.94명 당 1대의 비율로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인구 대비 차량 보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이다. 반면, 제주는 인구 67만 명 대비 70만 대의 차량이 등록되어 있어, 인구당 거의 1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자동차 등록 추세의 전망

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점점 더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이 명확하다.

전기, 하이브리드 및 수소차 같은 친환경 차량의 지속적인 성장은 더욱 건강한 도시 환경을 약속하며, 경유차의 감소 추세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다. 향후 자동차 산업과 관련된 정책 및 기술 개발이 이러한 데이터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