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중국보다 못하다?”…중국 시장보다 떨어지는 ‘이것’에도 불구, 버티는 이유

성실뉴스

지난달 판매량 17대, 중국 BYD에 크게 밀려
1~5월 누적 판매량 199대로 중국 BYD의 두 배 이상 차이

현대차의 일본 시장 고전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의 판매 실적은 매우 저조하며, 중국의 전기차 제조업체 BYD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일본 내에서의 자동차 판매는 현대차에게 큰 도전과제로 남아있다.

BYD는 오는 여름 소형 해치백 모델인 ‘돌핀’을 출시할 예정이며, 하반기에는 고급 세단 ‘씰’을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이러한 신모델 출시는 BYD의 판매량을 더욱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① 현대차의 일본 시장 판매 저조

일본 시장에서 외국 브랜드의 성공은 드물어 테슬라에 이어 전기차 분야에서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은 BYD의 성과는 눈에 띄는 사례로 평가된다. 반면, 현대차는 일본 내에서 상대적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현대차의 일본 시장 판매량은 겨우 17대였으며, 이는 중국의 BYD가 같은 기간 동안 실적으로 440대를 기록한 것에 비해 크게 미달하는 수치이다. 일본자동차수입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현대차는 일본에서 총 199대를 판매했다.

② 일본 자동차 시장의 난관

일본 시장은 현대차에게 매우 도전적인 환경이다.

일본은 까다롭고 보수적인 시장 특성상 외국 브랜드들이 진입하기 어려운 곳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기차 및 수소차에 관련된 인프라 부족도 현대차의 판매 부진에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는 일본 브랜드들이 전기차 전환에 비교적 느리게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③ 현대차와 토요타의 대조적인 운명

한국에서 일본 자동차 브랜드인 토요타는 매우 잘 나가고 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토요타의 한국 내 판매량은 2383대로, 전년 동기 대비 35.6% 증가한 반면 렉서스는 4321대를 판매하여 114%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러한 성과는 토요타가 한국 시장에서 적극적인 신차 출시와 강력한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④ 자동차 시장의 미래 전망

현대차와 토요타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행보는 앞으로도 크게 주목받을 것이다. 일본에서 현대차가 반등을 이루어 낼 수 있을지, 그리고 토요타가 한국 시장에서의 강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양사의 전략과 시장 접근 방식을 통해 두 회사의 미래가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