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은 충전소 난민”…전기차 오너들이 ‘욕 먹는’ 이유

성실뉴스

욕 먹는 전기차 차주들 행동
전기 무단으로 쓰면 생기는 일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한 벤츠 차량의 이미 진행된 계산 시스템이 아닌, 충전기에 연결만 하면 충전이 시작되는 콘센트를 무단으로 사용한 사건이 화제가 되었다. 이 자리는 허가받지 않은 자가 사용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전기차 전용 충전공간이었다.

이 행위에 대해 많은 이들이 ‘전기차 차주들에 대한 평판을 저하시키는 행위’, ‘차량이 아까울 정도’라며 비판을 가했다. 어떠한 경우라도 사적인 이득을 위해 공용 시설을 함부로 사용하는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전기차 충전 에티켓

전기차 충전 시에는 전기차 전용 충전구역과 충전기 사용 규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차 차주들 욕먹게 하는 행동

최근 전기차 관련 공간의 지정을 무시하고 무단으로 차량을 충전하는 사례가 문제가 되고 있다. 법적으로 허가받지 않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런 충전 행위는 타인의 재산을 침해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전기차 커뮤니티 내에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며, 전기차주 전체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인상을 남긴다. 일부 전기차 소유주들은 이러한 행위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자제를 호소하고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라 할지라도 충전 행위를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 대다수의 의견이다. 무분별한 충전 행태는 결국 모든 이용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올바른 충전 문화의 정착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기를 무단으로 쓰면 벌어지는 일

건물의 전기를 무단으로 사용하면 절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요구받을 수 있다. 전기차 충전용 전력 단가와 일반 건물용 전기 요금은 차이가 있어, 무단 사용 시 요금 산정에 혼란을 줄 수 있고, 더 나아가 무거운 누진세 부과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만약 적발된다면 형법상 절도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무단 충전은 당장의 편리함을 추구할지 모르나, 장기적으로 볼 때 더 큰 법적 책임과 경제적 부담을 불러일으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서 올바른 이용이 더욱 강조된다. 모든 이용자가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할 때 지속 가능한 충전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전기차 충전 문화의 성숙한 자세가 요구된다.

충전소 사용 에티켓

전기차 충전소 이용 시 규정된 충전 방식을 따르는 것은 기본 매너이다.

위와 같은 사례로 무단 충전할 경우 ‘도전’에 해당된다. 전기를 도둑질한다는 의미이다. 절도로 볼 만큼 무거운 판단을 하는 이유는 건물 관리 측에 전기요금 폭탄이 날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충전용 전력 단가가 따로 산정되어 있는데, 등록하지 않을 경우 건물 내 전기 요금으로 들어간다. 경우에 따라 누진세가 붙을 수도 있는 것이다.

차량이 자주 오가는 대형마트나 오피스 건물은 적합하지 않다. 대신 장기 주차가 가능한 아파트와 관공서 주차장에 주로 적용된다. 충전 속도가 매우 느리지만 설치 공간과 비용 절약이 강점이다. 심지어 건물 노후 여부 상관없이 기둥만 있다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서울시에선 이미 수천여곳에 해당 충전기를 설치했다.

최근 일부 전기차 운전자들이 비허가 구역에서 무단으로 전기를 사용해 충전하는 행위가 발생하였다. 이는 절도 행위로 간주되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충전 비용을 절약하고자 하는 욕심이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문제가 제기되자 일각에서는 해당 차주들이 회사의 허락을 받은 경우도 있다며 이에 대한 비난을 경계하기도 했다. 하지만 허락의 여부와 관계없이, 관리되는 전력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법률적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전기차 올바른 충전 방법으로는 허가된 충전 기둥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기둥은 콘센트형 전기차 충전기라 불리며, RFID 충전카드를 이용해 합법적으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설치가 용이하여 여러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충전 방식이다.

자동차 꿀팁: 충전을 할 때는 항상 허가된 충전구역과 방식을 사용하시길 바란다. 비록 천천히 충전되더라도 부당한 법적 문제에 휘말리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