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포장 훼손으로 인해 배상한 금액 약 100억 원
매년 증가하는 파손으로 인한 사고 건수

한국도로공사의 최근 보고에 따르면 도로 포장의 노후화와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한 포장 파손 사고로 지난 3년간 배상한 금액이 100억 원에 달한다.
2022년에는 1737건에 대해 약 34억 원, 2021년에는 1218건에 19억 원, 그리고 2023년 11월까지 2832건에 41억 원을 배상하게 되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유지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배상 증가와 사고 발생 빈도 상승
도로 포장 파손으로 인한 사고 건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2019년에 3717건이었던 사고는 2020년에는 4440건, 2021년에는 4285건, 2022년에는 4509건으로 증가했다. 2023년 8월까지 이미 발생한 사고는 4164건에 이른다.
특히 보험사들이 대물과 대인 배상을 포함해 청구하는 비율이 높아, 최근 3년간 배상 금액이 크게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사고 다발 지역과 대책 마련
사고는 특히 경기 군포지사, 충북 진천지사, 경기 이천지사, 서울 동서울지사, 충남 천안지사에서 많이 발생했다.

도로공사는 사고 증가에 따른 피해 배상에 대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여름철에 집중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적 보수 방안이 수립 중이며, 각 지역별로 날씨에 따른 대응책도 마련되고 있다.
피해 배상 절차 및 필요 서류
도로에서 포트홀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면, 먼저 안전한 곳에 차량을 정차하고 해당 지역 도로공사 지사에 연락해야 한다.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에서는 ‘노면 파손 피해 배상 신청’을 접수할 수 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로는 블랙박스 영상, 현장 및 피해 차량 사진, 수리비 영수증 등이 있으며, 위치 정보가 포함된 사진이 도움이 된다.
결론적으로
도로 포장 파손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각 지역별 발생 사고의 신속한 보고와 즉각적인 처리, 그리고 예방적 유지 관리는 우리 모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한국도로공사는 이러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