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 신차 급증”…우리나라에서 유독 많은 이유는?

성실뉴스

LPG 신차 등록 급증
현대차와 기아, 화물차 시장 선도

최근 액화석유가스(LPG) 자동차 시장은 전례 없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올해 1분기 LPG 차량의 신차 등록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3만 8230대에 달했다.

이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가율을 훨씬 뛰어넘는 수치로, LPG차량이 한국 내에서 얼마나 인기를 얻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LPG 차량의 급증하는 판매량

이러한 신차 등록 증가는 친환경 정책과 맞물려 LPG 신차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크게 밝혀주고 있다.

특히 화물차 시장에서 LPG 차량의 성장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로 1톤 디젤 트럭의 생산이 중단되면서, LPG 차량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실제로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 3월에만 LPG 차량 1만 2542대를 판매하였으며, 이 중 화물차가 9097대로 전체 판매의 72.5%를 차지하였다.

LPG 차량, 경제성과 친환경성에서 유리

LPG 차량은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높은 기름값 상황에서도 LPG의 연료비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또한, LPG 차량은 질소산화물과 같은 유해 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LPG 차량은 계속해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국내외 자동차 제조사의 LPG 차량 라인업 확장

완성차 제조사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발맞추어 LPG 차량의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현대 자동차는 쏘나타 LPG 택시 모델을 재출시하며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아도 K5 LPG 택시 모델 출시를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확장은 전기차 판매가 다소 주춤하는 상황에서 더욱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차세대 LPG 기술 개발로 미래 시장 예상 밝음

한편, 국내에서는 차세대 LPG차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르노코리아는 대한LPG협회와 함께 차세대 LPG차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들은 LPG 직분사 엔진 기술을 개발하여 출력과 토크를 높이고, 유해 물질과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양산 가능성을 검토 중인 이 기술은 LPG차 시장의 미래를 밝게 해 줄 전망이다.

이 모든 진전들이 LPG차의 미래가 밝음을 암시한다.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특성으로 인해, 앞으로 LPG차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의 판도가 변화하는 이 시점에서, 제조사들은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며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차량들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것이다.